정보/사운드바

사운드바 잘 선택하기

scatter 2022. 2. 17. 23:05

  들어가기

최근 코로나로 인해 극장의 수요가 줄며
홈시이터를 구축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습니다.
홈시어터중 가장 중요한것은 당연히 화면과 소리겠죠.

70인치 이상의 TV들은 가격대가 하락하였고,
TCL등의 중저가 브랜드들 또한 국내에서 구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넓은 반면,

홈시어터를 구축하기 위해 개별로 스피커를 구매하고, 리시버를 구매하고
AV의 기초 원리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며, 시공과 선정리 또한 매우 복잡합니다.

그래서 최근 이것들을 통합해놓은 사운드바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다만 브랜드들이 너무나 많고, "사운드"라는 것이 개인차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선택에 있어 고민하실것 같습니다.

오늘은 사운드바에 조금만 더 이해하고, 조금 더 나은 제품을 선택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들어가기에 앞서, 먼저 사운드바의 사용빈도와 환경에 대해서 잘 알고계셔야 합니다.
소리라는 것 자체가 진동으로 전파되는 만큼,
보통 아파트에 거주하고 계시는 분들은
선택에 있어 신중해주시길 추천드리며

TV사용 빈도가 낮으신 분들에겐
굳이 비싼 모델을 선택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베오 사운드 스테이지

  1. 채널 수

Q950A


삼성의 사운드바 모델중 하나인 Q950A의 상품 정보입니다.
11.1.4 ch 사운드 라고 명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피커의 채널은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 유닛의 개수로,
채널의 갯수가 많을수록 여러 각도에서 소리가 분산되어 나오게 되며
홈시어터의 입체감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부분중 하나입니다.


먼저 채널 수는 3개의 숫자로 표시됩니다.

X . Y . Z

X: 전면 스피커의 갯수
Y: 서브 우퍼의 갯수
Z: 후방 스피커의 갯수

여기에서 전면과 후방의 스피커는
업파이어링,사이드파이어링과 센터채널로 나뉘어 지는데,
이에 관해선 뒤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면 스피커란, 말그대로 전면에 있는
사운드바 본채에 들어있는 스피커 갯수를 뜻합니다.

젠하이저 엠비오


보통 전면의 입체감을 느끼기 위해선
못해도 전면 4채널 이상의 사운드바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브 우퍼란, 극저음을 담당하는 스피커유닛입니다.
보통 저음을 담당하는 우퍼보다
더 낮은 저음을 담당하는 유닛으로,
사운드바 본체와 통합되어 있는 모델과
사운드바와 개별로 있는 모델이 존재합니다.

서브우퍼



저는 제대로된 극저음과 전반적이 경험을 위해선,
서브우퍼가 개별로 존재하는 모델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극저음을 담당하는 유닛인 만큼
진동이 굉장히 많이 발생하여, 층간소음의 주 원인이 되는 아이입니다.
6인치정도의 서브우퍼 또한 매우 강력하며,
크기가 클수록 통상적으로 진동이 강력해지므로
아파트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신중하게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후방스피커는 통상 리어스피커라고도 부릅니다.
말 그대로 뒤에 놓는 스피커이며, 어느정도의 입체감을 느끼기 위해선
개인적으론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삼성 리어 스피커

삼성과 LG의 경우, 최상급 모델에는 기본적으로 구성되지만
그보다 낮은 등급의 모델들은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애트모스/DTS:X



사운드바를 선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중 하나입니다.
애트모스와 DTS:X는 스마트폰에도 탑재되었으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것 같습니다.

애트모스

애트모스와 DTS:X객체지향적인 공간음향 포맷으로,
이 포맷들을 지원하는 영화나 음악등을 감상해보시면
공간감에 있어서 확실한 차이가 존재하게 됩니다.

(애트모스 코덱에는 truehd와 DD+가 존재하는데,
이는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애트모스는 소리의 힘이 강한 느낌이고
DTS:X는 소리가 더 세세하게 구현되는 느낌입니다.

다만 이들은 라이센스비가 비싸고,
어느 정도의 성능이 뒷받침 되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보통 중급 이상의 모델에 주로 지원됩니다.

또한 애트모스나 DTS:X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선
플레이어가 지원해야 하고, TV가 디코딩을 지원해야 합니다.

"공간감을 느끼고 싶다!"하시는 분들에게는
이둘을 지원하는 사운드바를 선택하시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3. 입력


사운드바를 연결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존재합니다.

1. 사운드바 <-> TV <-> 플레이어

와 같이, TV에 플레이어와 사운드바를 연결하는 방법과

2. 플레이어 <-> 사운드바 <-> TV

와 같이 사운드바를 거쳐 영상만을 TV에 전달해주는
연결방법이 있습니다.


두번째에서 처럼 음성신호만 처리하고, 영상은 TV로 넘겨주는 것을
패스스루 라고 합니다.

이러한 패스스루에서 중요한것은
사운드바의 패스스루 지원에 따라
패스스루로 넘겨줄 있는 영상신호에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4K 60프레임까지 지원하는 사운드바도 있고,
4k 30프레임 까지, 4K까지 지원안하는 사운드바도 있으니
만약 콘솔이나 게임용으로 구매하신다면
이러한 지원 여부를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HDMI ARC와 eARC의 경우는 첫번째처럼 연결할 경우 확인해야 합니다.
ARC기능은 HDMI케이블을 통해, TV의 음성신호만을
사운드바로 전달해주게 됩니다.

이 기능은 TV의 지원 여부를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또한 ARC와 eARC에는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대역폭 차이가 존재하며
TV가 애트모스나 DTS:X를 미지원하는 경우,
ARC나 eARC를 통하여 해당 영상들을 감상하실 수 없습니다.

이또한 TV의 지원여부를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CEC기능이란, HDMI를 통해
하나의 리모컨으로 연결된 다른 기기들까지
같이 조종할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다만 호환성에서 아직까지 완벽하지 않고,
서로 잘 맞지않는 기기들이라면
신호가 충돌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3. 업파이어링/사이드파이어링


아까 서술했던 사운드바의 "채널"에 연장선상에 있는 내용입니다.
이 두가지는 간단히 반사음 효과 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만약 소리가 위나 옆에서 시청자에게 전달이 되려한다면
그 위치에 실제로 유닛이 있는것이 가장 좋은 구성입니다.

애트모스 스피커 구성

다만 이러한 구성은 단가가 높아지고,
실제로 스피커가 해당 위치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적제약이 심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리 자체는 본체에서 나지만
소리가 벽에서 튕겨서 시청자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반사음 효과" 라는 것이 등장합니다.

반사음

이런 식으로 실제적 스피커 없이도, 해당 위치에서
소리가 재생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해주는 것이죠.

현재 중~상급 사운드바들에서 주로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Q950A 상품설명


다만 '이론적'으론 완벽하지만,
실제 스피커에 적용되었을땐 많은 제약 사항이 있습니다.


1. 절대로 실제 스피커를 따라갈 순 없습니다.

2. 층고나 벽의 구조에 따라 반사음 효과가 천차만별 입니다.


층고가 복잡할 수록 소리가 분산되어
그 방향에서 소리가 나온다는 느낌을 거의 받을 수 없으며,
단순히 "앞쪽 소리가 더 커진다" 정도의 느낌에서
그치기도 합니다.

LG SJ9

(다음과 같이 거의 수직적인 업파이어링은 실제 청음해보았을때,
정말 아무런 효과가 느껴지지 못했습니다.)

  4. 어느브랜드?


사운드바가 실제론 굉장히 복합적인 장치이고
고려할 사항이 많지만,
실제로 국내에서 구입할 수 있는 브랜드들은 많지 않습니다.

https://www.rtings.com/soundbar/reviews/best/soundbar

The 7 Best Soundbars - Winter 2022: Reviews

The Samsung HW-Q950A is the best soundbar we've tested. This 11.1.4 setup has an Auto EQ room correction feature that automatically optimizes audio reproduction based on your room's unique acoustics.

www.rtings.com

위는 TV밑 사운드바 전문 리뷰 사이트 입니다.
각 점수들을 고려해보시고, 판단하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사운드바는 어디까지나 "스피커"이고, 개인차가 심하기 때문에
위의 사항들을 잘 고려하여 선택하시길 바라며
꼭 청음해보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각 브랜드들의 사운드바에 대해선 기회가 된다면 다른 글에서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보 > 사운드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지오 사운드바 개조하기  (0) 2022.02.22